– 2026년까지 생활권형 맨발길 확충… 치유·휴식 중심 녹색 인프라 확대 –

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맨발걷기 산책로[사진=대전시]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계족산 황톳길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한밭수목원[사진=대전시]
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맨발걷기 산책로
[사진=대전시]
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맨발걷기 산책로[사진=대전시]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계족산 황톳길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한밭수목원[사진=대전시]
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계족산 황톳길
[사진=대전시]
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맨발걷기 산책로[사진=대전시]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계족산 황톳길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한밭수목원[사진=대전시]
대전시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 본격화-한밭수목원
[사진=대전시]

[세종의아침=이유진기자]9대전시가 자연과 접촉하는 일상적 치유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맨발걷기 녹색도시’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 시는 공원·녹지·수목원·휴양림을 하나의 녹색 네트워크로 연결해 생활권 안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맨발걷기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대전에는 총 29개소, 40.5km 규모의 맨발길이 조성돼 있다. 계족산 황톳길, 무수동 치유의숲 둘레길, 한밭수목원 맨발걷기 길, 서구 완충녹지 산책로 등 다양한 유형의 흙길이 시민들에게 자연 치유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대전시는 2026년까지 14억 원을 투입해 5개소의 생활권형 맨발길을 추가 조성한다. 동구 은어송아파트 일원에는 1.5km 맨발길과 세족장·조명을 설치하고, 중구 테미근린공원에는 350m 황톳길과 휴게시설을 마련한다. 서구 남선근린공원에는 500m 마사토길과 황토족탕을 설치해 체험 요소를 강화한다. 유성구 죽동근린공원과 해랑숲근린공원은 기존 산책로를 정비해 휴식·치유·산책이 결합된 힐링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맨발길’ 개발도 추진한다. 유성 북부권역에서는 아파트 단지 사이의 녹지축과 완충녹지를 연결해 생활 동선 속 자연체험이 가능하도록 하고, 노은동 완충녹지에는 시민 참여형 맨발길을 조성한다. 원신흥동 내수변공원은 수변 경관을 활용한 개방감 있는 맨발길로, 갑천생태호수공원은 체험·관광형 맨발길과 자연학습 프로그램을 연계한 힐링 명소로 조성할 예정이다.

박영철 대전시 녹지농생명국장은 “맨발걷기는 도시민이 자연과 직접 연결되는 소중한 경험”이라며 “녹지 공간을 감성 회복과 치유 중심의 바이오필릭 공간으로 확장해 시민들의 건강과 정서를 돌보는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독자 여러분의 후원은 '세종의아침'에 가장 큰 힘이 됩니다.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 주세요.

NH농협 351-1352-7230-83 세종의아침
저작권자 © 세종의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